사실 지금 당장은 내가 보고 있는 문제에 열조화함수가 어떻게 적용될지 감이 정확히 잡힌 상태는 아니고, 그냥 '아 뭔가 유용하겠는데' 이런 직감만 있다. 발산정리의 경우 이를 이용하여 열조화함수에 대한 좋은 성질을 하나 증명할 수 있기 때문에 제목에 추가하였다.
정의. (열조화함수)
G가 좌표평면의 열린 부분집합이라 하자. $\Phi: G \to \mathbb{R}$가 $C^{2}$급 함수라 하자. 이제 $\Phi$가 열조화함수라는 것은,
$$\Delta \Phi = \Phi_{xx} + \Phi_{yy} \geq 0$$
임을 의미한다.
조화함수는 경계값 조건이 주어진 평면에서의 열 방정식의 균형해이다.
열조화함수도 분명 편미분방정식에 어떤 유용한 역할을 수행할 것 같다.
아래는 열조화함수에 대한 성질이다. 조화함수에 대해서는 등호가 성립했음에 주목하자:
정리.
(편의상 $G = \mathbb{R}^{2}$라 하자.) u가 열조화함수면, 다음이 성립한다:
$$ \frac{1}{2\pi} \int_{0}^{2\pi} u(R \cos(\theta), R \sin(\theta)) d\theta \geq u(0)$$
증명.
복소함수론 1 과목에서 조화함수의 경우 등호가 성립함을 보았었다. 거기서 나온 증명도 결국 이 아이디어를 본딴 것 같기는 한데, 나만의 언어로 재해석하는 차원에서 소개하고자 한다.
일반성을 잃지 않고 $u(0) = 0$이라 가정하자.
기울기 벡터장을 좌표평면에 부여한다:
$$F(x,y) := (u_{x}, u_{y})$$
이제, $div F = u_{xx} + u_{yy} = \Delta u$가 성립한다.
이것을 집합 $C = \{(x,y)| x^{2} + y^{2} \leq R^{2}\}$의 영역에서 적분하면, 열조화함수 가정에 의해 0보다 크거나 같다:
$$\iint_{C} \Delta u dA = \iint_{C} div F dA \geq 0$$
그런데, 2차원 발산 정리에 의해
$$\iint_{C} div F dA = \int_{\partial C} F \cdot n ds$$
우변을 전개하기 위해, $\partial C$를 반시계방향으로 매개화하여 $s(\theta) = (R \cos(\theta), R \sin(\theta))$라 두면 $ds = r d\theta$이고,
$$\int_{\partial C} F \cdot n ds = R \int_{0}^{2\pi} u_{x} \cos(\theta) + u_{y} \sin(\theta) d\theta$$
가 성립한다.
그런데, $$\frac{\partial u(R \cos(\theta), R \sin(\theta))}{\partial R} = u_{x} \cos(\theta) + u_{y} \sin(\theta)$$가 성립한다. $u$가 $C^{2}$급이므로. 라이프니츠 규칙을 적용하여 R에 대한 편미분을 적분 밖으로 뺄 수 있다.
따라서
$$R \int_{0}^{2\pi} u_{x} \cos(\theta) + u_{y} \sin(\theta) d\theta = R \frac{d}{dR} \int_{0}^{2\pi} u(R \cos(\theta), R \sin(\theta)) d\theta$$
따라서
$$R \frac{d}{dR}\int_{0}^{2\pi} u(R\cos(\theta), R\sin(\theta))d\theta \geq 0$$
이고, R이 양수면
$$\frac{d}{dR} \int_{0}^{2\pi} u(R\cos(\theta), R\sin(\theta)) d\theta \geq 0$$
이 성립한다. 이때 함수가 최소한 $C^{2}$급이므로 도함수도 연속이고, 0에서의 미분계수도 0 이하이다.
따라서,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를 쓰면, 양수 R에 대해
$$\frac{1}{2\pi}\int_{0}^{2\pi} u(R \cos(\theta), R \sin(\theta)) d\theta \geq 0 = u(0)$$
가 성립한다. $\square$
사실 이걸 올리고 싶었다 ㅋㅋ.
'수학 (2023-S) > Traveling Wave Shenanigan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8.02 컨볼루션이 들어간 ODE?? (0) | 2023.08.02 |
---|---|
07.28 해석적 함수를 이용하여 무한대에서의 해 구성하기 3 (1) | 2023.07.28 |
07.27 해석적 함수를 이용하여 무한대에서의 해 구성하기 2 (0) | 2023.07.27 |
07.26 해석적 함수를 이용하여 무한대에서의 해 구성하기 (0) | 2023.07.26 |
07.24 Local Xin-Jin Model 백지화. 아주 부분적인 결과 (0) | 2023.07.24 |